728x90
상품 그 자체를 사는 대신 상품을 생산하는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어떤가? 하지만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상품 그 자체를 직접 사는 것보다 리스크가 더 큰 투자 방식이다. 가령 구리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움직이지만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세계 최대의 구리 생산업체인 펠프스 다지의 주가는 주식시장 전반의 분위기나 이 회사의 자산 및 부채 구조, 최고 경영진의 변동, 노사관계, 환경문제 등 예측할 수 없는 숱한 변수들에 따라 출렁거릴 수 있다.
지난 43년 동안의 투자 수익률을 검증한 결과 상품에 직접투자하는 것이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나았다. 무려 3배나 높았다.
상품시장의 강세장이 상당히 장기간 지속되는 이유는 새로운 생산 능력의 증가 없이 상품 공급량이 소진되어가고 있는데도 이런 변화를 인식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갈 수 있을 정도로 생산량을 늘리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알래스카의 노스 슬로프 유전이 발견된 것은 1968년이었지만 여기서 생산된 원유가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9년이 더 지나야 했다. 1200파운드짜리 수송아지 한 마리를 시장에 내놓는데도 임신에서 육우, 최종 도살 단계까지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커피 나무가 열매를 맺으려면 3~5년은 자라야 한다. 상품시장의 강세장이 상당히 장기간 지속된느 이유는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