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일지

바이낸스 선물 코인 수익 점검 및 이기는 습관 만드는 법

728x90

새해 20240101 오늘, 7시간 정도 세개의 모니터에서 돌아가는 차트를 바라보며 트레이닝을 했다. 

SSV는 일봉 상으로 많이 올라주는 분위기이고, 1시간 차트와 15분 차트, 1분 차트를 번갈아보며, 어떤 선택이 최선일까를 계속 생각했다.  

 

거래량이 나옴에 따라 변동성이 터질 때, 그리고 횡보하고 있을 때는 주목해야한다. 

변동성이 터질때는 빠른 순발력도 중요해지며, 의사결정도 빠르게 해야한다. 

횡보하고 있을 때는 어느 한쪽으로 가격방향이 기울어지기 직전이라는 의미에서 주목이 필요하다. 

1분봉 상에서 변동성이 터질때 슬리피지(가격 변동이 빨라 매매버튼을 누르는 순간에 가격이 원하는 가격과 차이가 나는 것) 현상도 일어나기에 약간은 넉넉한 익절이 좋다. 내가 주로하는 원금기준으로는 1달러 정도 익절 시점이 안전한 것 같다.  새해를 시작함에 그간 내 선물계정의 수익을 살펴보았는데, 한번의 큰 손절을 하기는 했지만, 성적이 괜찮다. 

토탈 수익 271달러 / 토탈 손실 137 달러

작년 10월 25일 정도쯤에 코인 선물 트레이닝이 시작되었고, 130달러 정도 수익이다. 최근 시작한 가족 계정까지 수익금을 합하면, 아버지 계정이 95달러, 어머니계정이 73달러 정도이다. 총 합치면, 거진 300달러이다. 지금 전략이 괜찮은 것 같다. 미실현 손실금액을 계속적으로 가져가는 전략. 롱포지션이나 숏포지션 중 어느 한쪽으로 크게 기울었때, 대응을 적절히 하여 무조건 수익을 가져간다. 관리해 줄 것은 롱과 숏 사이의 간격이며, 너무 크지 않은 비중으로 들어감으로써 평단을 낮추어 롱, 숏 간격을 줄일 수 있는 계좌관리를 항시 해준다. 이럴 경우 항상 이기는 습관을 가져갈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해 항상 가격은 회귀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변동성의 물결을 제대로 즐겨주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변동이 빠르게 움직일 때, 세 개의 계정을 동시에 켜두고 1분봉 차트를 볼린저밴드 상하단선 기준으로 체킹하며 빠른 대응하기. 특히 한번에 팍 움직이는 것 주목. 순간 포착을 잘하고 슬리피지를 조심해서 진입을 하면, 수익을 거둘 확률이 올라간다.  

 

또 중요한 것은 롱포지션과 숏포지션을 헷갈려하지 않고, 지지와 저항라인에서 일정한 금액을 나누어서 들어가는 것이다. 오늘 생각한 베스트 비중은 200 + 100 + 100 달러 이다. 

200달러는 현재 내 원금에서 변동성을 먹기 좋은 금액이라 생각되고, 나머지 100달러, 100달러는 분할로, 판단오류를 커버할 수있는 리스크 커버용이다. 적절하게 치고 빠지기를 잘하고, 시간차를 두고 다른 계정으로 들어가서, 계정을 여럿 가짐에 따른 안전장치도 마련한다. 물론 모든 계정은 같은 종목을 진입하고 같이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항상 롱포지션은 좀 더 낮은 위치에서 들어가고 싶고, 숏포지션은 좀 더 높은 위치에서 들어가고 싶으나 마음 같이 되지 않을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명심 또 명심해야할 것은 비중을 나누어서 진입하는 것이다. 내가 가진 원금에서 어느 정도가 허용 가능치인가를 끊임없이 가늠해보고 적절한 금액대를 찾아야 한다. 계좌에 여유가 있으면, 마음에 여유가 생기고, 비중을 분할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생긴다. 이를 잘 활용하면 항상 이기는 습관 탑재가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변동성을 먹는 것도 차트를 지켜보고 있을 때 용이하다. 지켜보지 않을 경우의 take profit 설정은 예측의 영역이므로 쉽지않다. 대응의 영역으로 순간적인 변동성에 대응을 하려면 차트를 지켜보고 있어야한다. 차트를 지켜볼 상황이 아니라면, 상하방 모두에 동일 비중으로 걸어놓거나 자신이 우위라고 생각하는 포지션에 약간만 (일반적으로 진입하는 비중의 한번정도의 양, 나의 경우 100달러) 높여놓고 다른 일을 보고 있으면 롱과 숏 안에서 가격이 결정되거나 설령 그 밖으로 가격이 벗어났다고 할지라도 반대포지션에서 커버를 치고 있으니 마음이 편할 것이다.  


만약 오름의 변동성을 먹기위해 롱포지션을 잔잔바리 대응을 하고 있다면, 위의 전략을 취할때 숏포지션에 걸려있는 금액도 생각해야 한다. 크게 오를지라도 숏포지션에 걸려있는 금액보다 적게 대응한다면, 숏포지션의 손실금액이 잔잔바리 오름 수익보다 많아질 것임을 염두해 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