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일지

한옥석 볼린저밴드 투자 아이디어 정리

728x90

유튜브를 찾아보니 볼린저밴드 관련 영상이 상당히 많이 있다. 많은 이들이 선호하는 보조지표 방식이다. 단타는 물론 중장기에도 통용된다고 한다. 이에 인터넷 전자도서관에 관련하여 한옥석의 볼린저밴드 실전투자법을 찾게되었고, 다음과 같이 투자 아이디어에 적용할 만한 것들을 정리해본다. 

 

주가가 볼린저밴드 내에 위치할 확률은 95.44% 이다. 

 

상한선을 돌파하면 95.44%의 확률로 상한선 아래, 즉 밴드내로 후퇴한다. 

 

밴드 확장의 절정기에 이르면 다음 수축 국면에 의해 기존 추세와는 반대방향으로 변화함을 인지할 수 있다. 

 

주가가 스퀴즈 이후 상승방향을 가질 경우, 밴드가 넓어지며 주가는 밴드 상한선을 돌파하고, 부진했던 거래량이 증가한다. 

 

특별한 호재가 없는 한 밴드수축에서 하한선 붕괴는 밴드 확장의 첫 매도 신호로 해석

 

  • 급등패턴에서의 매도 신호는 볼린저밴드 수축 전환의 첫 신호인 하한선의 상승반점 시점이다. (급등으로 밴드 확장이 심화된 상황에서 밴드의 수축진입) / 급등패턴 = 상한선 > 주가 > 중심선 > 하한선 (하한선 기울기만 하락하고 나머지는 다 상승) / 선물의 경우 주가와 상한선의 배열위치가 바뀌어도 급등패턴으로 본다. 변동성이 심한 코인도 그런듯하다.
  • 완만상승 패턴은 하한선의 초기하락 후 상승전환하면서 주가와 각 괘선 모두 상승기울기를 가진다. 완만 상승기 종목을 중장기 매매할 경우 일봉 상 중심선이 하락 반전할 때가 매도 타이밍이다. 

상승기조에서는 단타보다는 볼린저밴드 중심선을 따라가는 중장기 투자원칙이 좋다. 

 

악재출현 이전에 중심선이 미리 하락하는 경우 매도신호로 본다. 

 

  • 급락패턴 = 주가 < 하한선 < 중심선 < 상한선 (단, 주가, 하한선, 중심선 기울기는 0보다 작고 상한선기울기만 0보다 크다.) / 급락패턴에서 수축의 첫 신호는 상승하는 밴드 상한선이 아래로 꺽일때이며 이와 동시에 주가가 반등하는 순간
  • 완만 하락 패턴은 주가가 밴드 하한선 위에서 하락 기조를 유지하며 이때 중심선과 상한선도 하락의 기울기를 가진다. 악재가 없을 때, 가끔씩 주가가 밴드 하한선을 붕괴시키는 경우 매수기회이다. 이때의 매수는 하락추세하에서의 반등이기에 기대감을 높이지말고 반등수준에서만 차익 실현하기 / 완만하락 패턴 하에서는 중심선이 다소 꺽인다고 급하게 저가매도할 필요가 없고 하한선 이하에서의 반등확률 95.44%를 고려하여 반등기에 매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점 파악을 위해 파동을 활용하면 좋다. 

 

중심선은 이동평균선으로 기존 방향을 지속하려는 성향이 강하기에 기존 차트 흐름을 살펴 중심선 기울기 방향을 예측해보는 것도 좋다. 

 

주가의 고점이 하향하고 스토캐스틱의 저점이 상향하면 주가의 방향은 스토캐스틱의 방향대로 상승반전한다. 

 

추세가 횡보할때, 하단선을 뚫으면 매수, 상단을 뚫으면 매도한다. 

 

일봉 상 이격이 크게 확대되지 않은 종목을 선택한다. 

일봉 상 상승이 진행 중인 종목 중 조정기에 30분봉이나 60분봉을 통해 조정을 거치면서 밴드 수축 과정을 보일때, 30분봉이나 60분봉 상 급락 패턴이 이루어지면서 상한선이 아래로 꺽이거나 볼린저밴드의 중심선이 상승으로 전환한 순간 가능한 C파동에서 매수를 고려한다. 

 

30분봉 또는 60분봉 상 급등패턴의 경우 확장된 밴드에서 하한선 상승반전 시점에서 매도한다. 완반한 상승세인 경우는 30분봉이나 60분봉 상한선의 하락 반전시에 매도를 고려한다. 

 

거래량 증가를 통해 매수세의 유입이 확인되어야 매수에 나설 수 있다. 상승전환은 거래량의 급증이 일어날때 가능하다. 

 

대형 악재가 만연해 있을 경우 C파동에서 섣불리 매수를 고려해서는 안되며, E파동까지 확인한 후 대응해야 한다. 

 

240분봉 상 하한선 이하로 진입시 95.44%의 확률로 반등한다. 이에 하한선 이하 진입 시점은 매수 타이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