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자재 선물 상품 연구

짐로저스의 상품시장에 투자하라 (커피 강세장 등)

728x90

지표면으로부터 6마일 깊이에서 나오는 지열 에너지만으로도 우리가 알고 있는 지구상의 모든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의 5만 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경기가 어려워지면 많은 투자자들은 약간씩 금 신봉자 같은 성격을 띠게 된다. 

나는 인플레이션이나 통화 위기가 금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일은 이미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나는  달러화 가치가 계속해서 떨어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금 신봉자들에게는 금을 사야할 좋은 구실일 것이다. 금은 언젠가 다른 상품들과 함께 새로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다. 


커피 묘목은 열매를 맺기까지 몇 년이 걸린다. 생산이 정상화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상품인 것이다. 

커피 생두는 원래 적당한 것을 좋아하는 작물이다. 너무 무덥지도 않고, 너무 춥지도 않고, 또 알맞은 양의 비가 내려야 한다. 날씨가 좋으면 커피 생산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가격은 오르기 어렵다. 최악의 날씨가 이어지면 커피 가격은 천정부지로 뛰어오를 수 있다. 

브라질에 서리가 내렸다는 뉴스가 전해지면 커피 가격은 즉각 급등세를 보인다. 1985년 여름철에 브라질에 혹독한 가뭄이 계속되자 다음해 커피 생상량은 거의 58%나 감소했다. 

 

2003년에 미국 농무부는 커피 재고가 전년도 말의 2840만 부대에서 24% 감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커피 선물을 사들인 투기자들의 얼굴에는 미소가 번져갔다. 이 같은 발표가 나오자 커피 가격은 3년 반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사실 이런 일은 투자의 위축 뿐만 아니라 재고 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이 공급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고전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ICO의 통계에 따르면 브라질산 아라비카 수확량은 40%나 줄었다. 또 미국 농무부는 브라질의 커피 수출량이 17% 감소했다고 밝혔다. 커피 수출량의 감소는 콜롬비아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콜롬비아의 많은 농민들은 이미 "한계 수준"에 다다른 커피 경작 지역에서 대거 커피 농사를 포기해버렸다. 

공급은 마침내 급감했고, 가격은 올라갔다. 달러 약세도 상승세를 부추겼다. 

 

지난 30여년간의 커피 가격 흐름을 잘 살펴보면 10년마다 한 번씩은 중미 지역에서 심각한 가뭄과 엄청난 호우, 혹은 브라질에 강한 서리가 내려 아라비카 열매에 큰 피해를 입혔고, 이로 인해 한두 시즌의 수확량이 급감했던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커피 소비국,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커피 수입국은 독일

커피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상황

세계 커피수요가 지난 10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연평균 1.3%씩 늘어난다 해도 앞으로 수 년간 수요가 공급을 넘어서는 것이다. 커피를 더 생산하려면 커피나무가 있어야 한다. 게다가 농부들이 돌아와 다시 커피나무를 경작하게 하려면 커피 가격이 계속 올라야 하고, 또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새로운 커피 열매가 시장에 나오고, 기존 농장의 생산량이 예년 수준을 되찾으려면 3~5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더구나 지금도 많은 농가에서 커피 경작을 그만두고 있는 게 현실이다. 

 

커피시장의 강세장을 열어줄 여러 고전적인 요인들이 줄지어 있다. 낮은 가격, 갈수록 줄어드는 생산농가, 커피나무와 커피 수확량의 감소, 여기에 계속해서 늘어나는 수요. 다가올 강세장은 또한 기상조건의 악화로 인해 더욱 강력해질 것이다. 


커피 가격이 한동안 오름세를 지속하면, 시장의 강세를 노리고 뛰어든 투자자들은 중국과 인도, 러시아의 새로운 구매자들이 가져다 줄 꿈을 퍼트릴 것이다. 이들은 커피 수요의 증가를 알려줄 온갖 종류의 보고서와 숫자를 들이밀 것이고, 왜 커피시장의 이번 강세장이 과거와 다른가를 떠들어댈 것이다. 이들이 제시하는 숫자는 진실일 수도 있겠지만 커피 가격을 움직이는 요인은 이전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2000년에 주식시장의 닷컴 랠리가 신경제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나, 1989년 일본 경제가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고 떠들어댄 것이나, 1980년에 국제 유가가 결국 세 자리 수를 기록할 것이라고 외쳤던 것이나 모두 이들의 주장과 다를 바 없다. 

즉, 우리가 익히 보았던 고전적인 강세장의 신경질적 발작이다. 그리고 커피시장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면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한 뒤 당신의 이익을 챙겨 다른 가치 있는 투자 대상을 찾아 떠나라. 


상품선물의 투자수익률은 인플레이션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상품 가격이 높아지면 전반적인 가격 수준을 끌어올린다. 즉, 인플레이션이 심화된다.

 

구두닦이 소년이 버나드 바루크에게 주식시장의 솔깃한 정보를 들려주었을 때가 바로 시장이 한껏 신경질적 발작을 일으키는 시기고, 시장에서 바로 빠져 나와야 할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