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뉴리스팅 아이템 소싱 방법
1) 내 상품이 있는 경우
- 보유 상품의 판매 가능성(타당성) 분석
> 대표 키워드 찾기
> 평균 가격대비 내 상품의 가성비
> 동일한 가격이 아닐 경우 품질 또는 고객가치에 대한 가능성 파악
- 보유 상품의 판매를 위한 준비(매출을 올리기 위한 준비)
> 노출 가능한 시장 필터링(분석)
> 도출된 키워드로 상품 페이지(텍스트) 작성 : 제품 타이틀, 블랫포인트, 제품상세
> 이미지 준비 : 뒷면이 하얀색 제품강조 이미지 최소 1개 (썸네일) + 일반 이미지 5개
> 브랜드 승인
> 카테고리 승인
> 상품 등록
2) 내 상품이 없는 경우1
- 제품 소싱 출처 : 쿠팡 로켓배송, 다이소 등 할인전문점 (아마존에서 10불이하로 판매되는 제품이면 우리나라에서 2000원 이하에 판매되어야 한다)
쿠팡 로켓배송에서 아마존에 비싸게 팔릴 만원이상 제품을 찾아 2~3배에 아마존에 그대로 올린다
이런 제품들을 10개씩 올리기, 아마존 창고에 넣은 제품이 아니더라도 2개~3개는 팔릴 것 / 상품수 없는 경쟁강도 낮은 제품 찾기
- 소싱검토 상품의 기본적인 가격 비교 : 아마존이 2배이상 비싼 제품
- 노출이 될만한 시장 찾기 : 키워드도구를 활용해서 경쟁상품 및 키워드 검색량이 적절한 시장 도출
> 예: 검색량 1000번 이상 & 경쟁상품 500개 이하
- 도출된 키워드로 상품 등록
3) 내 상품이 없는 경우2
- 일반적인 키워드 분석
아마존은 한 페이지당 상품 70개씩 있다. 총 7페이지까지 노출되기에 소싱할때 경쟁제품의 수는 적을 수록 좋고 490개 상품보다 적은 상품을 소싱해야 한다. (나는 140개 정도 2페이지 안에 들 상품을 소싱하자)
브랜드만 보인다면 그 시장은 들어가지 않기
- 도출된 연관검색어에서 노출이 가능한 시장 키워드 확인
> 예: 검색량 1000번 이상 & 경쟁상품 500개 이하
> 검색결과 나온 시장의 상품이 브랜드가 아닌 키워드 시장찾기
- 찾은 시장의 상품과 유사한 상품 공급처 찾기
> 쿠팡, 알리바바닷컴, 도매꾹, 도매시장(오프라인)
- 상품에 대한 최소구매수량 확인을 통한 도매 공급처 섭외
- 상품등록 전 브랜드, 카테고리 승인 여부 확인
- 상품등록
브랜드 등록한 애들 똑같은 제품 팔면 안됨
상품 드가보면 상세페이지 상 텍스트만이 아니라 사진이 있으면 100% 브랜드 등록된 상품
그래서 없던 제품을 파는 것이 좋다.
마인드키 오디오북 대본
아마존 상품 소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