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를 잘 하려면 어떤 요건이 필요할까요?
이익이 나는 포지션은 최대한 유지하고, 손실이 나는 포지션은 빠르게 털어 버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두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장기간의 추세를 십분 이용하려면 포지션을 자르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가능하도록 어떤 조치를 취하나요? 다시 말해 설익은 이익을 챙기고 싶은 유혹을 어떻게 뿌리치시나요?
극기와 인내심을 얻는 최선의 방법은 매매를 시작하기 전에 그 매매에 관해 철저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고찰해보는 것이에요. 여러 가지 돌발 상황에 대처할 전략적 계획을 수립해 놔야만 한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하면 뉴스가 시장에 충격을 가해 가격이 급락하거나 급등하더라도 이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어요. 또한 스스로 조사하고 연구하여 도출한 장기적 목표 지점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되지요. 장기적 목표 지점을 수립하고 시장이 자신이 생각한대로 움직일 때 방어적 스톱주문을 그 움직임에 따라 옮기는 거예요. 다른 방법으로는 추세추종 시스템을 사용하여 그 시스템이 내는 신호에 따라 포지션을 정리할 수도 있겠죠. 목표 지점을 숙고해서 지정해놓고, 시장의 추세가 바뀔 경우를 대비해 포지션을 어떻게 정리할지 대책을 마련해두면 이익이 나는 포지션을 자르지 않고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훨씬 커지게 됩니다.
(크리스티안은 이에 대해 10일 이동평균선을 이야기한다. 다른 것은 생각할 것도 없이 10일 이동평균선을 따라 오르고 있다면 계속 홀딩하라는 것이다.)
빌펠트 씨 개인적으로는 성공을 무엇으로 판단하시나요?
나는 축적한 돈으로 무엇을 하나냐로 성공을 판단하고 싶군요. 아내와 내가 지금까지 해온 일들 중 하나를 소개하자면 우리는 재단을 하나 설립해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고, 우리가 속한 공동체와 함께 우리의 성공 중 일부를 나누고 있습니다.
빌펠트 씨는 그 재단에 자금만 지원하시나요, 아니면 운영상 실무적으로 참여하시나요?
나와 내 가족은 여러 종류의 프로젝트들을 평가하고, 어떤 프로젝트에 자금을 제공할지를 결정하는 일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어요.